‘재작년’ vs ‘제작년’ 무엇이 맞는 표현일까?

우리가 일상생활에서 자주 사용하는 단어 중에는 헷갈리기 쉬운 표현들이 많습니다. 그중에서도

‘재작년’과 ‘제작년’

은 유독 많이 혼동되는 단어인데요. 과연 둘 중에 맞는 표현은 무엇일까요? 지금부터 정확히 알아보겠습니다.

 

1. 올바른 표현은 ‘재작년’

결론부터 말씀드리면, ‘재작년’이 맞는 말이고, ‘제작년’은 잘못된 표현입니다. ‘재작년’은 한자로 再昨年(다시 재, 어제 작, 해 년)이라고 쓰며, 지금으로부터 2년 전을 의미합니다.

📌 예문

  • 나는 재작년에 이사를 했다.
  • 재작년 여름은 무척 더웠다.
  • 재작년에 처음으로 해외여행을 다녀왔다.

 

2. 왜 ‘제작년’이라고 착각할까?

사람들이 ‘제작년’이라고 잘못 쓰는 이유는 발음이 비슷해서입니다. 빠르게 말하거나 글을 쓸 때 습관적으로 ‘제작년’이라고 쓰는 경우가 많습니다. 그러나 ‘제작년’은 국립국어원 표준국어대사전에 등록되지 않은 단어</strong로, 공식 문서나 글에서는 사용을 피해야 합니다.

 

3. 함께 알아두면 좋은 표현

표현 올바른 여부
작년 1년 전
재작년 2년 전
제작년 잘못된 표현
내년 1년 후
후년 2년 후

 

4. 기억 꿀팁

  • 재작년 = 2년 전 (작년보다 더 앞의 해)
  • ‘再’는 ‘두 번째’ 또는 ‘다시’라는 뜻의 한자입니다.
  • 제작년은 비표준어이므로 공식 문장이나 글에서 사용하지 않아야 해요.

 

 

5. 마무리

사소해 보이지만, 올바른 단어 사용은 신뢰를 주는 글쓰기의 기본입니다. 오늘부터는 ‘2년 전’을 말할 때는 반드시 ‘재작년’이라고 써주세요! 작년, 재작년, 내년, 후년까지 정확하게 구분해서 쓰면 문장의 완성도도 훨씬 높아집니다.

이런 맞춤법 정보가 유익했다면, 좋아요와 공유 부탁드립니다 😊 다음에는 더 많은 헷갈리는 단어들을 소개해드릴게요!

 

 

 

‘암’과 ‘앎’의 차이, 헷갈리지 마세요! - 병과 지식의 결정적 구분

발음은 비슷하지만 뜻은 전혀 다른 단어들이 한국어에는 많이 존재합니다. 오늘은 그중에서도 유독 혼동되기 쉬운 ‘암’‘앎’에 대해 알아보겠습니다. “참된 암이 중요하다”라는 말, 과연 맞는 표현일까요? 이 글에서 두 단어의 정확한 차이와 올바른 사용법을 알려드립니다.

 

 

1. ‘암’의 뜻과 쓰임

‘암’은 여러 가지 뜻을 가진 한자어입니다. 주로 질병, 어두움, 숨김 등의 의미로 쓰입니다.

  • 병명: 암(癌)은 악성 종양을 말합니다. 생명을 위협하는 질병이죠.
  • 어두움: 암(暗)은 빛이 없는 상태를 의미합니다. 예: 암실(暗室)
  • 은밀함: 암행, 암중모색 등에서 보듯, ‘드러나지 않음’이라는 뜻도 포함됩니다.

예문:

  • 그는 폐암 판정을 받았다.
  • 필름 사진은 암실에서 현상해야 한다.
  • 암행어사는 암행으로 민심을 살폈다.

 

2. ‘앎’의 뜻과 쓰임

‘앎’은 동사 ‘알다’의 명사형입니다. 지식, 인식, 이해 등의 추상적 개념을 나타냅니다.

  • ‘알다’ → ‘앎’ (알음 아님)
  • 철학, 교육, 심리학 등에서 많이 쓰이는 개념입니다.

예문:

  • 진정한 은 삶을 변화시킨다.
  • 행함은 함께 가야 한다.
  • 그는 깊은 을 가진 학자다.

 

 

3. 표로 쉽게 정리!

항목
품사 명사 (한자어) 명사 (동사 ‘알다’에서 파생)
의미 악성 종양, 어둠, 숨김 지식, 인식, 이해
예문 암 치료 / 암실 / 암행 앎과 실천 / 참된 앎 / 앎이 깊다

 

4. 자주 틀리는 예시 바로잡기

❌ 틀린 문장: 참된 이 중요하다

✅ 올바른 문장: 참된 이 중요하다

❌ 틀린 문장: 그의 암은 깊고 풍부했다

✅ 올바른 문장: 그의 은 깊고 풍부했다

 

 

5. 마무리하며

발음이 비슷해서 무심코 바꿔 쓰기 쉬운 ‘암’과 ‘앎’. 하지만 의미는 하늘과 땅 차이입니다. 병과 어둠은 ‘암’, 지식과 인식은 ‘앎’이라는 점을 꼭 기억해두세요.

앞으로도 이런 헷갈리는 단어들을 하나씩 정리해드릴 테니, 국어 실력 키우고 싶은 분은 계속 구독해주세요!

 

 

‘주워’가 맞을까, ‘주서’가 맞을까? 헷갈리는 표현 바로잡기

일상생활 속에서 자주 쓰는 표현 중에서도 문법적으로 헷갈리는 단어들이 있습니다. 그중 대표적인 예가 바로 ‘주워’‘주서’입니다. “바닥에 떨어진 걸 주워.”라고 말하는 게 맞는 걸까요? 아니면 “주서.”라고 써도 될까요? 지금부터 이 표현의 정확한 의미와 올바른 사용법을 정리해드리겠습니다.

 

 

정답은? → ‘주워’

올바른 표현은 ‘주워’입니다. ‘주다’에서 온 것 같다고 착각하기 쉬우나, 실제 어원은 ‘줍다’입니다. 따라서 ‘줍다’의 활용형인 ‘주워’가 맞습니다.

예시:

  • 길에 떨어진 동전을 주워서 주머니에 넣었다.
  • 쓰레기를 주워서 분리수거함에 버렸어요.
  • 아이들이 놀다가 뭔가를 주워 왔어요.

 

‘주서’는 왜 틀릴까?

‘주서’는 존재하지 않는 단어입니다. 이는 ‘줍다’의 불규칙 활용을 잘못 알고 잘못 쓴 경우입니다. 특히 ‘ㅂ’ 불규칙 활용 동사에서는 원형의 받침 ‘ㅂ’이 활용 시 ‘우’로 바뀌는 특징이 있습니다.

 

 

📌 ‘ㅂ’ 불규칙 활용 예시

  • 곱다 → 고와요
  • 돕다 → 도와요
  • 줍다 → 주워요

즉, ‘주워’는 맞지만 ‘주서’는 문법상 틀린 표현이라는 점, 기억해두세요!

 

표로 한눈에 정리!

원형 맞는 활용 틀린 활용
줍다 주워, 주웠다, 주우면 주서, 주섰다, 주서면

 

 

마무리하며

작지만 중요한 맞춤법 차이, 알고 보면 쉬운데 평소엔 자주 틀리기 쉽습니다. ‘주워’와 ‘주서’처럼 비슷하게 들리지만 전혀 다른 문법적 정확성을 가진 단어들을 하나씩 짚어보는 건 국어 실력을 높이는 좋은 방법입니다.

이 블로그에서는 앞으로도 헷갈리는 국어 표현, 맞춤법, 문법 팁 등을 쉽고 재미있게 소개해드릴 예정이니, 많은 관심 부탁드립니다!

 

“희안하다”일까요, “희한하다”일까요? 일상 대화나 메신저에서 한 번쯤 헷갈려보신 적 있지 않나요? ‘희안하다 희한하다 바른표기’를 정확히 알고 써야 실수 없이 소통할 수 있어요. 지금 바로 확인해보세요!


❓ 왜 ‘희안하다’가 맞는 것처럼 느껴질까?

"와, 진짜 희안하네?" 이렇게 말하거나 타이핑해 본 적 있으신가요? 많은 분들이 이 표현을 무의식적으로 사용합니다. 그런데 실제로는 틀린 표현입니다. 왜 이런 실수가 자주 발생할까요?

첫 번째 이유는 ‘희’와 ‘안’이 마치 독립된 의미를 가지는 것처럼 느껴지기 때문입니다. ‘희’는 희귀하다, 희소하다에서처럼 낯설고 드문 느낌을 주고, ‘안’은 부정적인 상황에서 종종 사용되다 보니 합쳐졌을 때 ‘이상하다’는 의미로 오해하기 쉬운 구성이 되죠.

게다가 말소리도 비슷하게 들리니, 단어를 자주 듣기만 하고 직접 써보지 않았다면 더욱 혼동되기 쉽습니다. 국어 맞춤법에서 자주 틀리는 단어 중 하나로 꼽히는 이유가 여기에 있습니다.


 

 

📚 표준어는 ‘희한하다’입니다

정답부터 말씀드릴게요. **표준어는 ‘희한하다’**입니다. 국립국어원 표준국어대사전에서도 ‘희한하다’는 말은 “매우 드물거나 신기하다”는 뜻으로 명확히 정리되어 있습니다.

반면 ‘희안하다’는 존재하지 않는 잘못된 표현입니다. 이 단어는 아무 사전에도 등록되어 있지 않고, 단지 말하는 방식이나 인터넷에서의 오용에 의해 퍼진 비표준 표기입니다.

예를 들어, “그 사람 행동 정말 희한했어”는 맞는 문장입니다. 그러나 “희안했어”라고 쓰면 맞춤법 오류가 생깁니다. 의외로 많은 글에서 잘못 쓰이고 있어서, 이 글을 읽고 계신 지금 이 순간부터 정확히 기억해 두셔야 합니다.


🧠 ‘희한하다’ 쉽게 외우는 방법

그렇다면 어떻게 기억하면 좋을까요? 간단한 팁이 있습니다.

‘희한하다’는 ‘희귀하다’와 ‘이상하다’를 섞은 느낌이죠. 여기서 공통되는 건 바로 ‘희’라는 말입니다. ‘희귀하다’와 ‘희한하다’는 둘 다 드문 상황, 낯선 현상을 뜻하는 단어이기 때문에 연관 지어 외우면 오래 기억됩니다.

또 하나의 기억법! ‘이상한 걸 보면 희한하다’라고 반복해 보세요. 말도 안 되게 특이한 상황을 봤을 때 “이건 정말 희한한 일이야”라고 말하는 거죠. 이런 식으로 감정과 상황에 연결하면 훨씬 오래 기억됩니다.


 

 

✅ 일상에서 올바르게 사용하는 팁

이제부터는 실생활에서 제대로 사용하는 연습이 필요합니다. 특히 SNS, 메신저, 이메일 등에서 단어를 자주 사용하는 분들은 한 번 더 점검해보세요.

예문으로는 이런 게 있습니다:

  • “오늘 본 뉴스, 정말 희한하더라.”
  • “그 가게 인테리어가 참 희한해.”
  • “이런 건 처음 봐, 희한하다 정말!”

반면 “희안하다”는 오탈자이니, 맞춤법 검사기나 자동교정 기능도 제대로 잡아주지 못할 수 있습니다. 습관적으로 오타가 나는 분들은 ‘단어 자동완성’ 기능을 적극 활용하거나, 평소 자주 틀리는 단어 목록을 메모해두는 것도 추천드려요.


🔚 결론

‘희안하다 희한하다 바른표기’ 중 맞는 표현은 단연코 희한하다입니다. 단어 하나에도 신뢰를 주고받는 세상이기에, 작은 맞춤법도 소홀히 넘기지 않는 습관이 필요하죠. 지금부터라도 올바르게 사용해 보세요.

+ Recent post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