생각다 못해? 생각건대? 헷갈리는 우리말, 정확히 알고 쓰자!

“생각다 못해 직접 찾아갔다.”
“생각건대, 그건 옳지 않은 선택 같아.”

이 표현들, 평소 자주 들으시죠? 그런데…
이게 진짜 맞는 말일까요? 아니면 그냥 편하게 줄여 쓰는 말일까요?

많은 분들이 '생각다 못해', '생각건대' 같은 표현을 무심코 사용하지만,
맞는 표현인지 확신이 없어 혼란을 느끼곤 합니다.
이 글에서는 두 표현이 정확히 어떤 의미를 가지고 있으며,
어떤 상황에 어떻게 써야 하는지를 쉽고 자세히 설명드릴게요.

 

 

🟠 ‘생각다 못해’는 맞는 표현일까?

✅ 정답은 ‘맞습니다’.

‘생각다 못해’는 사실 **‘생각하다 못해’**의 줄임말, 즉 준말입니다.
‘하다’라는 보조동사를 생략해서 자연스럽게 구어체로 쓰이게 된 거죠.

📌 의미: 어떤 상황이나 감정을 더 이상 견디지 못해서 어떤 행동을 하게 될 때 사용

예: “참다 참다 생각다 못해 그에게 직접 말을 꺼냈다.”

이처럼 감정이 극에 달했을 때를 나타내며, 긴박함이나 절박함이 느껴지는 표현이에요.
구어체, 대화체, 감성적인 글에 자주 등장합니다.

🟠 ‘생각건대’는 정말 표준어일까?

✅ 이 또한 표준어입니다.

‘생각건대’는 **‘생각하건대’**의 준말입니다.
여기서 중요한 포인트는 ‘하’가 생략됐다는 점입니다.

국립국어원에서도 공식적으로 인정하는 표현입니다.
'하건대'는 ‘-하다’라는 보조동사의 활용이지만, 앞 음절 받침의 영향으로
‘하’가 탈락하고 ‘건대’만 남게 되며, 이렇게 줄인 표현이 바로 **‘생각건대’**입니다.

📌 의미: 어떤 판단이나 의견을 제시할 때 사용

예: “생각건대, 이번 프로젝트는 다시 검토할 필요가 있어요.”

🔎 중요한 건, ‘생각컨대’는 틀린 표현이라는 점입니다!
‘컨대’는 과거 일본식 표현의 흔적으로, 현재 국립국어원에서는 인정하지 않습니다.
그러니 '생각컨대'가 아니라 ‘생각건대’로 꼭 써주세요.

 

 

🟢 정리하자면

표현본말의미맞는 표현?
생각다 못해 생각하다 못해 더 이상 견디지 못해 행동함 ✅ O
생각건대 생각하건대 의견이나 판단을 밝힐 때 ✅ O
생각컨대 ❌ (비표준어) 오용된 표현 ❌ X

🧡 언제 어떤 표현을 써야 할까?

  • 감정적으로 행동의 원인을 설명하고 싶을 때:
    → “생각다 못해 내가 직접 나섰다.”
  • 논리적으로 의견을 제시할 때:
    → “생각건대, 이런 접근은 효율적이지 않다.”

💡 상황에 맞게 잘만 사용한다면, 이 표현들은 문장의 리듬과 감정, 전달력을 높여주는 훌륭한 도구가 됩니다.

+ Recent post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