글을 쓰다 보면 자주 사용하는 표현 중에 헷갈리는 단어들이 있습니다. 그중 대표적인 것이 바로 **‘일일히’와 ‘일일이’**입니다. 둘 다 자주 쓰이는 표현처럼 보이지만, 실제로는 하나는 표준어이고, 하나는 틀린 표현입니다.
이번 글에서는 두 표현의 정확한 의미와 차이, 그리고 왜 자꾸 헷갈리는지를 쉽고 정확하게 정리해보겠습니다.


 

1. 결론부터 말하자면, “일일이”가 맞는 표현입니다.

**‘일일이’**는 국립국어원 표준국어대사전에 등재된 정확한 표준어로,
‘하나하나 빠짐없이’ 또는 ‘개별적으로 각각’이라는 의미를 가지고 있습니다.

📌 예시:

  • “그는 내 말 하나하나에 일일이 반박했다.”
  • “모든 댓글에 일일이 답글을 달 필요는 없다.”
  • “회의 때마다 일일이 설명하는 건 비효율적이야.”

즉, 어떤 일을 세세하게 전부 대응하거나 다룰 때 사용되는 부사입니다.


 

 

2. 그렇다면 “일일히”는?

‘일일히’는 틀린 표현, 즉 비표준어입니다.
표현상 자연스럽게 느껴질 수 있지만, 국어사전 어디에도 등재되어 있지 않은 잘못된 표기입니다.
이는 ‘-히’로 끝나는 부사형 어미에 익숙한 사람들이 관성적으로 만들어낸 표현입니다.

‘일일이’를 부사로 잘못 활용하면서 ‘일일히’라고 쓰게 되는 오류죠.
하지만 올바른 부사 형태는 ‘일일이’입니다. 다른 예와 비교해보면 더 이해하기 쉽습니다.


 

 


3. 왜 헷갈릴까?

많은 사람들이 ‘-히’로 끝나는 부사형 표현에 익숙합니다. 예를 들어 ‘정확히’, ‘개별히’, ‘상세히’ 같은 말들이 그렇죠.
그래서 자연스럽게 ‘일일이’도 ‘일일히’로 착각하게 됩니다.

하지만 우리말에는 규칙이 있는 동시에 예외도 많습니다.
‘일일이’는 한자어 **‘一一’(하나하나)**에서 온 말이며, 그 자체로 부사의 형태를 가지고 있기 때문에 따로 어미 ‘-히’를 붙일 필요가 없습니다.


4. 헷갈릴 때 구분법

📌 구분하는 가장 쉬운 방법은 사전에 검색해보는 것입니다.

  • ‘일일이’는 검색 시 국립국어원에 등록되어 있음
  • ‘일일히’는 검색해도 나오지 않음 → 비표준어

또한 문장을 구성할 때 ‘하나하나’, ‘각각’의 의미로 쓸 수 있다면 ‘일일이’가 정답입니다.


 

 

5. 잘못 쓰기 쉬운 예문 정리

❌ 틀린 예:

  • “그는 지적 사항을 일일히 정리했다.”
  • “고객 요청에 일일히 응대했다.”

✅ 바른 예:

  • “그는 지적 사항을 일일이 정리했다.”
  • “고객 요청에 일일이 응대했다.”

6. 블로그, 콘텐츠 작성자라면 꼭 알아야 할 이유

‘일일히’ 같은 비표준어를 자주 쓰면 독자의 신뢰를 잃을 수 있습니다. 특히 블로그나 뉴스레터, 콘텐츠 마케팅 글을 작성할 때 정확한 맞춤법은 브랜드 신뢰도와 직결됩니다.

또한 SEO 관점에서도 잘못된 단어는 검색 노출에 불리할 수 있습니다. 사람들이 올바른 맞춤법인 ‘일일이’를 검색하는데, 내 글에 ‘일일히’만 있다면 검색되지 않을 확률이 높아지겠죠.


 

 

마무리 정리

  • 올바른 표현: 일일이 (하나하나, 각각의 의미)
  • 잘못된 표현: 일일히 (비표준어)

정확한 단어 하나가 글 전체의 완성도를 바꿉니다.
오늘부터는 ‘일일히’ 대신 **‘일일이’**로 바르게 써보세요!

+ Recent post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