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암’과 ‘앎’의 차이, 헷갈리지 마세요! - 병과 지식의 결정적 구분
발음은 비슷하지만 뜻은 전혀 다른 단어들이 한국어에는 많이 존재합니다. 오늘은 그중에서도 유독 혼동되기 쉬운 ‘암’과 ‘앎’에 대해 알아보겠습니다. “참된 암이 중요하다”라는 말, 과연 맞는 표현일까요? 이 글에서 두 단어의 정확한 차이와 올바른 사용법을 알려드립니다.
1. ‘암’의 뜻과 쓰임
‘암’은 여러 가지 뜻을 가진 한자어입니다. 주로 질병, 어두움, 숨김 등의 의미로 쓰입니다.
- 병명: 암(癌)은 악성 종양을 말합니다. 생명을 위협하는 질병이죠.
- 어두움: 암(暗)은 빛이 없는 상태를 의미합니다. 예: 암실(暗室)
- 은밀함: 암행, 암중모색 등에서 보듯, ‘드러나지 않음’이라는 뜻도 포함됩니다.
예문:
- 그는 폐암 판정을 받았다.
- 필름 사진은 암실에서 현상해야 한다.
- 암행어사는 암행으로 민심을 살폈다.
2. ‘앎’의 뜻과 쓰임
‘앎’은 동사 ‘알다’의 명사형입니다. 지식, 인식, 이해 등의 추상적 개념을 나타냅니다.
- ‘알다’ → ‘앎’ (알음 아님)
- 철학, 교육, 심리학 등에서 많이 쓰이는 개념입니다.
예문:
- 진정한 앎은 삶을 변화시킨다.
- 앎과 행함은 함께 가야 한다.
- 그는 깊은 앎을 가진 학자다.
3. 표로 쉽게 정리!
항목 | 암 | 앎 |
---|---|---|
품사 | 명사 (한자어) | 명사 (동사 ‘알다’에서 파생) |
의미 | 악성 종양, 어둠, 숨김 | 지식, 인식, 이해 |
예문 | 암 치료 / 암실 / 암행 | 앎과 실천 / 참된 앎 / 앎이 깊다 |
4. 자주 틀리는 예시 바로잡기
❌ 틀린 문장: 참된 암이 중요하다
✅ 올바른 문장: 참된 앎이 중요하다
❌ 틀린 문장: 그의 암은 깊고 풍부했다
✅ 올바른 문장: 그의 앎은 깊고 풍부했다
5. 마무리하며
발음이 비슷해서 무심코 바꿔 쓰기 쉬운 ‘암’과 ‘앎’. 하지만 의미는 하늘과 땅 차이입니다. 병과 어둠은 ‘암’, 지식과 인식은 ‘앎’이라는 점을 꼭 기억해두세요.
앞으로도 이런 헷갈리는 단어들을 하나씩 정리해드릴 테니, 국어 실력 키우고 싶은 분은 계속 구독해주세요!
'바른말, 고운말' 카테고리의 다른 글
“‘재작년’과 ‘제작년’, 뭐가 맞는 표현일까? 헷갈리는 단어 바로잡기” (2) | 2025.06.28 |
---|---|
“‘배다’와 ‘베다’, 스며드는 것과 자르는 것의 정확한 차이” (2) | 2025.06.27 |
‘돕다’와 ‘도와주다’의 차이점은? 비슷하지만 다른 두 표현 (4) | 2025.06.24 |
‘맞히다’ vs ‘맞추다’ 헷갈릴 필요 없어요! 한 번에 정리하는 국어 맞춤법 (1) | 2025.06.24 |
“주워”가 맞을까 “주서”가 맞을까? 헷갈리는 표현 완벽 정리 (3) | 2025.06.23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