봬요 vs 뵈요, 헷갈리는 높임말 한 번에 정리!
“그럼 내일 봬요?”
아니면, “그럼 내일 뵈요?”
짧은 인사 한 마디에도 맞춤법이 걸리면 괜히 망설여지죠.
특히 직장 상사나 고객에게 문자 보낼 때 이런 표현 하나 때문에 몇 초씩 멈춰보신 경험 있으시죠?
오늘 이 글에서 ‘봬요’와 ‘뵈요’, 그 정확한 차이를 알려드릴게요.
봬요? 뵈요? 딱 하나만 맞습니다
정답은 단 하나, **“봬요”**입니다.
‘뵙다’라는 동사의 활용형을 줄일 때 “뵈어요” → **“봬요”**로 줄여 쓰는 것이 맞는 표기예요.
예를 들어볼게요.
✔️ “내일 선생님을 뵈어요.” → 구어체에서 줄이면?
✔️ “내일 봬요.” → ✅ 정확한 표현입니다.
반면, **“뵈요”**는 어떻게 보더라도 비문법적입니다.
발음상 비슷해 보여도 국립국어원 표준국어대사전에서도 ‘뵈요’는 등재되어 있지 않은 틀린 표현입니다.
공식 문법 설명: 왜 ‘봬요’가 맞을까?
‘뵙다’는 ‘보다’의 높임말입니다.
이를 활용할 때, ‘뵈다’라는 어간에 어미 ‘어요’가 붙으면 ‘뵈어요’가 되죠.
여기서 자연스럽게 줄이면 **‘봬요’**가 되는 겁니다.
✔️ 뵈어요 → 봬요 (O)
❌ 뵈요는 줄임형으로 볼 수 없음
이 원리는 돼요(되어요) / 돼(되) 와 같은 변화 방식과도 유사합니다.
예: “이거 돼요?”도 “되요”라고 쓰면 틀린 것처럼요!
실생활에서 더 많이 틀리는 이유는?
일상 대화에서는 발음의 유사성 때문에 많은 분들이 ‘뵈요’를 잘못 사용합니다.
특히 문자, 톡, 이메일, 블로그 댓글 등에서는 무심코 틀리는 경우가 많죠.
하지만 이런 표현 하나가 상대에게 당신의 신중함과 언어 감각을 보여준다는 사실!
예를 들어,
❌ “그럼 회의 때 뵈요.”
✅ “그럼 회의 때 봬요.”
단 1글자 차이지만 당신의 말이 더 신뢰 있게 들리게 합니다.
비슷하게 자주 틀리는 높임말도 함께 확인하세요!
헷갈리는 맞춤법은 한두 개가 아닙니다.
특히 높임말과 관련된 표현에서는 다음과 같은 실수가 많습니다.
- ❌ 안되요 → ✅ 안 돼요
- ❌ 왠일이야 → ✅ 웬일이야
- ❌ 됬다 → ✅ 됐다
- ❌ 드릴께요 → ✅ 드릴게요
블로그 운영자나 SNS 작가, 마케터라면 이런 기본적인 맞춤법이 브랜드 이미지에 큰 영향을 줄 수 있습니다.
결론
“그럼 다음에 뵈요?”가 아니라, “그럼 다음에 봬요.”
맞춤법 하나가 예의를 갖춘 인사로 변하게 됩니다.
한 번 정확히 알아두면 평생 자신 있게 쓸 수 있어요.
작은 표현 하나, 그게 당신의 품격입니다.
'바른말, 고운말' 카테고리의 다른 글
부질없다 뜻과 유사어 총정리 (0) | 2025.05.27 |
---|---|
생각다 못해? 생각건대? 헷갈리는 우리말, 정확히 알고 쓰자! (0) | 2025.05.26 |
“깨끗히? 깨끗이? 꼭 구별하세요!” (1) | 2025.05.25 |
“되? 돼? 글 실력은 여기서 갈립니다!” (1) | 2025.05.24 |
“설레임? 설렘? 감성은 정확함에서 시작돼요” (0) | 2025.05.23 |